2008년 다문화 ((글자그림)) 미술대회
편지내용 시작1. 다문화사회로의 환경변화
□ 국내 체류외국인 현황
○ 2007년말 현재 체류외국인은 106만 여명으로 전체 주민등록인구의 2% 차지
※ 2020년에는 외국인 비율이 5%를 넘을 것으로 예상됨
□ 국제결혼에 따른 다문화 가정 증가와 국민 구성의 다양화
○ 2006년 기준 8쌍 중 1쌍이 국제결혼이며, 2007년 말 결혼이민자의 수는 11만여 명 (2000년 대비 약 4.5배 증가)
○ 후천적 국적취득자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일본 등 128개국 7만여 명(‘90년 55개국 ⇒ ’07년 128개국)
2. 다문화사회 ((글자그림))미술대회 취지
□ 결혼이민자 및 귀화자 사회부적응 심화
○ 결혼이민자 등이 한국어, 우리사회 이해가 부족하여 사회적응 곤란
○ 결혼이민자의 교육과 취업의 기회에서 소외되어 사회적?경제적 취약 계층으로 전락, 다문화가정 아이들 사회적 문제로 대두
□ 공교육의 다문화교육 포용 부족
○ 학교 현장의 공무원을 비롯한 선생님들, 다문화가정외의 부모님?학생들의 기존의 한국사회에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다문화사회로의 시민적 소양 부족
○ 다문화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화된 언어교육의 특화성을 잠재된 민족주의로 인한 거부와 공교육 예산비용(새로운 시스템 도입과 개발, 교사 인력의 확충 등)부담으로 인해 수용하지 못함.
○ 현재의 과도한 입시경쟁의 교육시스템에서는 공교육이 아이들의 다양하고 폭넓은 사고의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내신의 서열화된 등급위주의 교육을 강행함으로써 사회적?경제적 취약 계층인 이주여성 결혼자 가정 아이들의 학습부진?열등시민으로 자리매김.
※ 결혼 이주 여성과 이주 노동자 자녀 가운데 초중고에 다니는 학생은 1만 9,000명, 초등학교 입학 대상은 4만 6,000명이다. 특히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초등학교 입학생 비율이 50%에 가까운 수준이다. 따라서 국제 결혼자 자녀 교육의 중요성은 이들의 신분(법률)적,경제적,사회적 기반이 취약하여 사회양극화 현상의 새로운 형태로 대두.되고 있다. (yestv 2008.07.18)
□ 기본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미비
○ 우리사회 제도, 생활, 문화 등 국내 정착에 필요한 기본소양을 받을 수 있는 교육시스템 부재
3. 다문화사회((글자그림))미술대회 개요
□ 다문화사회가 그리는 모습
○ 공존 peaceful coexistence
현재 전세계에 존재하는 언어는 5,000~6,000여종, 다문화사회에서의 공존은 한국어와 이주여성의 모국어이자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어머니나라말이 한국사회에서 대립적인 관계로 나아가지 않고 오히려 다문화가정아이들의 정체성에 확립에 도움을 주고, 한국사회가 세계화 선진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된다. 두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는 나라에서 이들 언어의 병존은 필연적이며 다만 그 중 소수언어(어머니나라말)의 권리가 억압되지 않도록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 다양성의 인정 give recognition to diversity
1948년 유엔이 선포한 ‘인권’은 인종에 따라 차별받지 않는 권리는 강조하지만 소수언어자가 차별받지 않을 권리에 대한 관심은 반영돼있지 않다. 문화와 언어의 변별성은 인간 정체성을 정의하는 바탕이 되기 때문에 문화적, 언어적 다양성의 유지는 필수적이다.
□ 핵심키워드 - 언어
○ 이주여성들이 한국에서 살아가는데 시급한 문제이자 가장 핵심이 되는 사안, 언어문제는 현재 한국의 수많은 NGO, 종교단체, 복지 시설 및 공교육의 학교에서도 한국어 교실을 시행하여 이주여성들의 한국사회 정착을 위해 돕고 있다.
○ 다문화 가정아이들의 경쟁력
세계화 시대의 이중언어 사용은 불가피해지고, 우리의 다문화가정 아이들은 어머니의 나라말을 자연스럽게 접할 권리와 환경을 가짐으로서 자연스레 다중언어사용자가 될 수 있다.
○ 각 나라별 다중언어사용 실태
캐나다 : 영어와 불어
미국 : 영어와 기타 언어(스페인어, 불어, 한국어...)
인도 : 힌디어, 영어와 기타 21개 언어
싱가포르 : 영어, 말레이어, 북경어, 타밀어
대만 : 북경어, 객가어, 대만어, 원주민어
중국 : 북경어와 중국어 방언, 50개 이상의 소수민족 언어
홍콩 : 영어, 광동어
필리핀 : 타갈로그어와 기타 필리핀어, 영어
아일랜드 : 영어, 게일어
영국 : 영어, 웨일즈어, 게일어
스위스 : 독어, 불어, 이탈리아어, 로망슈어
스페인 : 스페인어, 카탈루냐어, 바스크어, 갈리시아어
핀란드 : 핀란드어, 스웨덴어
벨기에 : 네덜란드어, 독어, 불어
남아공 : 영어, 아프리칸스어 등 11개 언어
□ 언어와 미술의 만남, 글자그림
○ 글자그림
(사진예시)
○ 낯선 언어가 친근하게 다가오는 방법
4. 대회명칭 : 2008년 다문화 ((글자그림))미술대회
○ 일시 : 2008년 10월 말에서 11월초 중간고사가 겹치지 않는 주 일요일
○ 장소 : 전북도청 광장
○ 주제 : “더불어 함께하는 다문화사회 글자그림대회”
○ 대상 : 만5~12세 초등학생 및 유치원생(유치부, 초등학교 저학년부, 초등학교 고학년부) 구나
○ 규격 : 일반도화지(8절지)
○ 소재 : 크레파스, 수채물감, 포스터칼라
○ 문의전화 : (평일 오후 1시~6시/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제외)
홈페이지를 참고
○ 작품 참가비 미정
○ 주관: UMCS 다문화사회공동
○ 주최협의중: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 전북청소년교육문화원 ? 교육운동사랑방 ....
○ 협찬협의중: 전라북도청 ? 전주시청 ? KT ? 신문사및 방송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