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일제고사 형태의 학업성취도평가가 부활하고 학력경쟁이 강화되면서 초등학교에도 방학중 보충수업이 등장했다. 교육전문가들은 "어린 나이에 과도한 학습부담은 오히려 흥미를 떨어트릴 수 있다."고 비판했다.
12일 충북도교육청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달 30일 도내 교감단 연찬회에서 이같은 내용이 결정됐다. 이날 교육청이 배포한 '6학년 학업성취도평가 대비 권장사항'이란 문서를 보면 "여름방학 한달이 학력 향상을 위해 몰입지도를 할 시간"이라며 "교과 관련 여름방학 프로그램으로 집중 지도할 것"을 권장했다. 세부사항으로는 (시험)정보 교환, 고학년 핵심 개념 정리, 기출문제·고난이도 문제 풀이, 가정과 학교에서 반복학습 유도 등이 제시됐다.
이에 따라 관내 학교들은 각각 여름방학 보충수업 계획을 만들어 학부모들에게 통지를 시작했다. 청주 A초교는 여름방학 기간에 2주 동안 보충수업을 하기로 했다. B초교는 일주일 동안 매일 등교하고 이후 일주일에 하루씩 등교하기로 했다. Y초교와 J초교는 일주일 동안 보충수업을 진행하되 하루는 자체 평가 시험을 치르기로 했다. 전교조 엄민용 대변인은 "
충북교육청이 여름방학을 줄이려다 반대에 부딪히자 또 다른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했다.
이같은 사례는 서울 등 다른 곳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달 서울 강남의 한 초교는 야간 자율학습을 실시했다.
서울 중부교육청은 초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학력평가를 치렀다. 또 울산 일부 초교에서도 1학년부터 사설 모의고사를 실시하고 3학년 이상은 수업시수를 1시간씩 늘리기도 했다.
가톨릭대 교육학과 성기선 교수는 "감성·창의력 교육이 중요한 어린 나이에 과도한 시험경쟁은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충북도교육청 관계자는 "권장 사항일 뿐 결정은 단위 학교에서 자율적으로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서울신문(
www.seoul.co.kr )